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기본전제, 교수설계 비교 및 안드라고지의 정의(定義)와 기여,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2:53
본문
Download :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기본전제, 교.hwp
몇 년 후 동료교사 헤르바르트(Herbart)는 용어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을 벌였고,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는 100년 가까이 망각되어 가는 듯했다. 미국에서는 1927년에 앤드슨(Anderson)과 린드만(Lindeman)이 용어에 대해 introduction를 했으나 槪念 정립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후 1970~1980년대에 이르면서 안드라고지는 성인교육을 뜻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그러다 1921년 독일 사회학자 로젠스탁(Rosenstock)이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노동학회의 보고서에서 ‘성인학습은 별도의 교사 ․ 방법 ․ 철학이 요구된다’는 견해를 펼치면서 유럽에서 다시 표면화되었다. 미국에서는 1927년에 앤드슨(Anderson)과 린드만(Lindeman)이 용어에 대해 소개를 했으나 개념 정립은 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후 1970~1980년대에 이르면서 안드라고지는 성인교육을 뜻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그러다 1921년 독일 사회학자 로젠스탁(Rosenstock)이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노동학회의 보고서에서 ‘성인학습은 별도의 교사 ․ 방법 ․ 철학이 요구된다’는 견해를 펼치면서 유럽에서 다시 표면화되었다. 40년 뒤인 1968년, 에 노울즈(Knowles)가 기고한 「Andragogy, Not Pedagogy」를 통해 미국에서도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각주:1]





다. 그러다 1921년 독일 사회학자 로젠스탁(Rosenstock)이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된 노동학회의 보고서에서 ‘성인학습은 별도의 교사 ․ 방법 ․ 철학이 요구된다’는 견해를 펼치면서 유럽에서 다시 표면화되었다.[각주:1]
레포트 > 기타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기본전제, 교수설계 비교 및 안드라고지의 정의와 기여, 논쟁
순서
Download :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기본전제, 교.hwp( 44 )
설명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의 기본전제, 교수설계 비교 및 안드라고지의 정의(定義)와 기여, 논쟁
Ⅰ. 용어의 origin안드라고지(andragogy)라는 용어는 원래 플라톤(Plato)의 교육이론을 기술하기 위해 1833년 독일인 교사 카프(Kapp)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다. 몇 년 후 동료교사 헤르바르트(Herbart)는 용어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을 벌였고,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는 100년 가까이 망각되어 가는 듯했다. 몇 년 후 동료교사 헤르바르트(Herbart)는 용어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을 벌였고,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는 100년 가까이 망각되어 가는 듯했다. 이후 1970~1980년대에 이르면서 안드라고지는 성인교육을 뜻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40년 뒤인 1968년, 에 노울즈(Knowles)가 기고한 「Andragogy, Not Pedagogy」를 통해 미국에서도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Ⅰ. 용어의 유래안드라고지(andragogy)라는 용어는 원래 플라톤(Plato)의 교육이론을 기술하기 위해 1833년 독일인 교사 카프(Kapp)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다.[각주:1]
Ⅰ. 용어의 originate 안드라고지(andragogy)라는 용어는 원래 플라톤(Plato)의 교육理論(이론)을 기술하기 위해 1833년 독일인 교사 카프(Kapp)에 의해 최초로 사용되었다. 40년 뒤인 1968년, 에 노울즈(Knowles)가 기고한 「Andragogy, Not Pedagogy」를 통해 미국에서도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처음 했다. 미국에서는 1927년에 앤드슨(Anderson)과 린드만(Lindeman)이 용어에 대해 紹介를 했으나 개념(槪念) 정립은 되지 않은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