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A to Z](2)펀드투자 strateg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7:07
본문
Download : 080428114350_.jpg
다. 더욱이 장기투자는 복리효율를 노릴 수 있다
하지만 주식투자 대가였던 그도 몇 번 잘못된 타이밍으로 전체 투자성과를 망치고 말았다. 장기투자와 적립식투자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타이밍 예측에 따르는 리스크를 줄여주는 방법을 먼저 찾아야 한다.





장기에 대한 기준은 3년, 5년, 10년 등 다양한 기준이 있으나, 종합주가지수의 경우 상승과 하락의 큰 사이클이 보통 3년 내에서 움직이므로 3년 이상을 장기라고 보기도 한다. 실제로 제시 리버모어는 워렌 버핏보다 수익률이 좋았다. 거치식 투자는 지수 상승기에 높은 수익을 얻지만 지수 하락기에는 크게 손실을 볼 수 있다
설명
주식시장이 단기적으로 박스권 내에서 등락을 거듭할 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이어왔다는 점에서 타이밍이 아닌 시간(time)에 대한 투자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펀드 A to Z](2)펀드투자 strategy
적립식투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면 더 큰 효율를 발휘한다.
-이재호 future(미래)에셋증권 자산운용컨설팅본부장(jaeholee@miraesset.com)
순서
기술적 analysis의 대가로 이름을 떨쳤던 미국의 제시 리버모어는 타이밍 매매에 귀재였다.
펀드 투자는 원칙대로 실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레포트 > 기타
[펀드 A to Z](2)펀드투자 전략
어차피 투자기간 동안 수익률 변동성이 있더라도 투자시점 대비 환매 시점의 수익률을 비교하여 환매시점을 잡으면 되기 때문에 단기 시황에 일희일비할 필요는 없다.
Download : 080428114350_.jpg( 77 )
예컨대, 1억원을 연 수익률 8% 펀드에 3년간, 5년간, 10년간 각각 투자했다면 1억2600만원, 1억4900만원, 2억1600만원이 된다 연수익률 10%라면 그 차이는 더 커져 1억3300만원, 1억6100만원, 2억5900만원으로 벌어진다.
그러나 몇 번의 파산을 겪으면서 권총 자살로 불행한 생을 마감하였다.
[펀드 A to Z](2)펀드투자 strategy
반면 적립식 투자는 한꺼번에 매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수움직임에 따른 수익률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작은 돈으로 투자하려는 사람에게 지나친 수익률의 출렁거림은 장애물이다. 이때 일정 수준의 손실을 인내하고 멀리 내다보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소액으로 처음 투자하려는 사람에게 적립식펀드가 적합하다는 이유다.
[펀드 A to Z](2)펀드투자 전략
적립식 투자는 일시에 투자하는 거치식 투자와는 달리 말 그대로 투자금액을 일정액으로 쪼개어 투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타이밍 보다는 중요한 것은 재무目標(목표)와 투자기간이다. 일반투자자는 개별 주식과 마찬가지로 펀드에 대상으로하여도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하다. 당장에 큰 욕심을 내는 것이 아니라면 거치식보다는 적립식이 편안하다. 따라서 일반투자자는 막연히 대가들의 투자기법을 고집하기 보다는 상식적이면서도 원칙에 충실한 투자방식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투자자는 일시적 시장흐름에 따라 심리적인 동요가 있기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