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싯(TRANSI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5:06
본문
Download : 트랜싯(TRANSIT).hwp
이와 같은 움직임을 트랜싯의 상부운동이라 하고 이 운동을 고정하는 나사를 상부고정나사라 한다.트랜싯
설명
트랜싯 , 트랜싯(TRANSIT)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1.서 론
1.1 조사 목적
1.1 조사 개요
2. 본 론
(1)트랜싯의 용도
(2)트랜싯의 구조
(3)트랜싯의 조정
(4)트랜싯 측량시 주의사항
(5) 측량방법
(6) 측각시에 발생되는 오차
(7) 현재의 트랜싯 사용
3. 결 론
(2)트랜싯의 구조
트랜싯은 사용목적이나 제작 회사에 따라 모양은 다르나 주요 구조는 대부분 비슷하며 상부, 하부, 정준장치로 나눌 수 있따 상부구조는 각을 측정(測定) 하기 위한 중요한 부분으로 평행상반과 평행하반으로 되어 있는데 상반은 연직축 내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각측정(測定) 에 사용되는 하부 고정나사와 하부미동나사가 있따 근자에 사용되는 기계는 대부분 상부고정나사와 하부고정나사가 하나로 되어 있어 사용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따
•연직축(vertical axis)
망원경은 연직축을 중심으로수평회전 운동을 하며 트랜싯의 연직축은 그 구조에 따라 단축형과 복측형이고 내축, 외축으로 되어 있따 내축에 버니어와 망원경이 고정되었고 외축에 수평분도원이 고정되어 있따 외축을 고정하고 내축을 그속에서 회전시키면 수평분도원은 고정되어있었으나 버어니어가 이동해서 잣눈의 각도를
가리킨다. 이 운동을 하부운동이라 하고 이를 고정…(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트랜싯(TRANSIT).hwp( 89 )
,기타,레포트
트랜싯(TRANSIT)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다. 이때 내축을 고정하고 전체를 외축의 주위에 회전시키면 버어니어와 수평분도원이 움직여서 수평분도원의 잣눈은 움직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