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비엔날레 동향 및 비엔날레 이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9:25
본문
Download : 국내외 비엔날레 현황 및 비엔날레 이.hwp
세계 주요 국제 미술제들은 한동안 서유럽과 그 파생 국가들의 도시에 치중되어 있었으나 점차 세계 각국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이런 것들이 곧바로 한국 비엔날레에 맹목적 의탁과 과도한 탐
우리는 비엔날레 전성시대에 살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비엔날레는 200여개에 이르고 있고, ‘국제 미술 이벤트’라는 題目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면 그 숫자는 훨씬 많아진다. 대표적인 비엔날레의 분포와 숫자는 유럽, 미 대륙, 아시아, 아프리카 순이다. 그 중 아랍에미리트연방의 샤르자비엔날레, 뉴델리의 인디아트리엔날레, 방글라데시의 아시안아트비엔날레, china의 광저우트리엔날레, 인도네시아의 발리비엔날레, 호주 퍼스의 일렉트로닉아트비엔날레,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스케이프어번아트비엔날레 등은 우리에는 미지의 국제 행사들이다. . 한국 사회에서 비엔날레는 욕망의 정치이며, 그 궁극은 베니스나 카셀과 같은 서구 메이저 반열에 근접하는 것이다. 반면, 비엔날레라는, 좁게는 하나의 전시유형이자 넓게는 예술적 인식의 메커니즘인 그것의 다양한 의미에 대한 관점과 입장은 처음부터 전무한 입장이었다. 그밖에 호주의 시드니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도 제각기 property(특성)을 가진 현대 미술제들을 개최하고 있는 도시이다. 당시나 지금이나 한국의 비엔날레 붐을 이끄는 동기는 세계 미술의 탐색과 지식의 소통 및 공유가 아닐것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日本(일본)의 나고야 ․ 요코하마 ․ 후쿠오카 ․ 에치고-추마리와 한국의 광주, china의 상하이 ․ 타이페이와 인도의 뉴델리 그리고 방글라데시의 다카 등을 들 수 있다. 서구권의 대표적인 미술제가 열리는 지역으로는 베니스 ․ 리용 ․ 생테티엔 ․ 베를린 ․ 플로렌스 ․ 덴마크의 컬쳐브로 ․ 스페인의 웁살라, 카셀 ․ 뮌스터 ․ 휘트니 ․ 상파울루 ․ 몬트리올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개최지의 지명을 행사의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주요 국제 미술제 30선에 마주향하여 는 김영호「세계의주요 국제미술제 analysis(분석) 」,『미술평단』 가을호(62호), 한국미술평론가협회, 2001을 참고할 것).
순서
Ⅴ. 부산 비엔날레 사례(instance)를 통한 전시감독 선임 문제
(2) 국내 비엔날레





(1) 세계 주요 비엔날레
목차
Ⅵ. 나오며
Download : 국내외 비엔날레 현황 및 비엔날레 이.hwp( 63 )
(1) 전시 기획과 담론
Ⅱ. 비엔날레의 탄생과 발전
Ⅲ. 국내외 비엔날레 사례(instance)
- 부산 비엔날레 전시감독 선임 문제를 중심으로 -
비엔날레, 이슈, 부산비엔날레, 전시기획, 담론
- 부산 비엔날레 전시감독 선임 문제를 중심으로 -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비엔날레의 탄생과 발전 Ⅲ. 국내외 비엔날레 사례 (1) 세계 주요 비엔날레 (2) 국내 비엔날레 Ⅳ. 비엔날레의 주요 쟁점 (1) 전시 기획과 담론 (2) 전시기획 조직과 전시기획자 Ⅴ. 부산 비엔날레 사례를 통한 전시감독 선임 문제 Ⅵ. 나오며 <참고문헌>
국내외 비엔날레 동향 및 비엔날레 이슈
Ⅰ. 들어가며
(2) 전시기획 조직과 전시기획자
레포트 > 예체능계열
설명
다.
Ⅳ. 비엔날레의 주요 쟁점
Ⅰ. 들어가며
한국에서 비엔날레는 그 출범부터 미술계 내부의 자발적 형식과는 무관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