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4:29
본문
Download :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hwp
이에 이 글에서는 먼저 동중서가 의리정신을 제창한 기본입장을 살펴본 다음 동중서의 언급에 관해 china(중국) 사상사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간략히 개괄하기로 한다. 그러한 기초 위에서 의와 이에 관한 소태산의 본의를 추적해보는 것이 이 글이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따
의 이 성리학
Ⅴ. 의와 이에 관한 소태산의 시각





설명
Ⅰ. 머리말
Ⅵ. 맺는 말 이로움은 우리의 선택에 중요한 影響을 끼치는 영역으로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이다. 의 이 성리학 / (성리학)
Ⅱ. 동중서(董仲舒)에서의 의와 이
레포트 > 기타
의 이 성리학 / (성리학)
순서
Download :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hwp( 31 )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 고찰
Ⅳ. 청대 실학파의 의리지변
위의 내용에서 인용된 동중서의 말의 본의는 무엇이며 소태산은 어떤 입장에서 利를 받아들였는가? 동중서의 말은 간략하지만 매우 함축적이어서 china(중국) 사상사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대종사 그 의만 바루고 그 이를 도모하지 아니하며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한다(정기의이불모기리 명기도이불계기공)라 한 동중서의 글을 보시고 칭찬하신 후 그 글에 한 귀씩 더 붙히시기를 그 의만 바루고 그 이를 도모하지 아니하면 큰 이가 돌아오고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하면 큰 공이 돌아오나니라(정기의이불모기리 대리생언 명기도이불계기공 대공생언) 하시니라.
Ⅲ. 송대 성리학과 사공파와의 논쟁
다. 이로움이란 경제적 가치를 위주로 한 표현이지만 명예, 권리 등에서부터 삶의 편리를 도모하는 것에 관련 깊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따 의와 이로움, 이 두 가지가 일치할 때는 상관없으나 충돌할 때는 정신적 갈등을 느끼게 되며 과감한 결단이 요청된다 이에 관련하여 『대종경』, 인도품 7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