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여성 민요의 힘과 한의 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5:51
본문
Download :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ppt
형님 마중 누가 갈까 형님 동생 내가 가지. 형님 형님 사촌 형님 시집살이 어떱데까 이애 이애 그 말 마라 시집살이 개집살이 앞밭에는 당추 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둥글둥글 수박 식기 밥 담기도 어렵더라. 도리도리 도리 소반 수저 놓기 더 어렵더라. 오 리 물을 길어다가 십 리 방아 찧어다가, 아홉 솥에 불을 때고 열 두 방에 자리 걷고, - 시집살이에서의 일고생 외나무다리 어렵 대야 시아버니같이 어려우랴 나뭇잎이 푸르대야 시어머니보다 더 푸르랴 시아버지 호랑새요 시어머니 꾸중새요, 동세 하나 할림새요 시누 하나 뾰족새요, 시아지비 뾰중새요 남편 하나 미련새요, 자식 하난 우는새요 나 하나만 썩는샐세. 시집살이에서 겪는 인간관계 속에서의 고난 열새 무명 반물치마 눈물 씻기 다 젖었네. 두 폭 붙이 행주치마 콧물 받...
다.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 Ⅰ.서론 전통 여성의 삶과 노래 -삶의 고난...
순서
인문사회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 Ⅰ.서론 전통 여
[인문사회] 여성 민요의 힘과 한의 미학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ppt( 57 )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 Ⅰ.서론 전통 여성의 삶과 노래 -삶의 고난...





설명
여성 민요의 힘과 恨의 美學 Ⅰ.서론 전통 여성의 삶과 노래 -삶의 고난과 애환을 담아냄 -삶에 대한 적극적 인식과 여성 의사의 소통경로 -삶 자체가 투영된 다층적 성격 시집살이요와 과부요 -가정사의 한을 독특한 표현양식으로 형상화 Ⅱ-1. 시집살이 노래 여성요의 대표적인 노래.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드러냄과 동시에 저항의 모습을 익살적이고 풍자적으로 드러낸 것도 있음. 경기도 경상 지방의 시집살이 노래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고개로 형님 온다.